본문 바로가기

안면신경마비 치료방법 및 치료 포인트 3가지 13년차 물리치료사가 알려드립니다.

비서은혜 2025. 1. 3.

안면신경마비(벨 마비 : Bells palsy)

대학병원에서 안면마비 환자를 치료하면서 고민하다.

대학병원에서 일했을 당시 가장 환자가 많았던 것은 안면마비(bells palsy)였습니다. 하루에도 5명~10명 정도 치료를 했었는데, 주로 EST(Electrostimulate therapy)를 이용한 전기자극을 근육의 운동점이라고 불리는 곳에 자극을 주어서 마비된 근육을 움직이게 해주고, 마비된 안면근육을 풀어주면서 안면신경이 포착(Entrapment syndrome : 연부조직의 문제 - 짧아짐, 타이트함, 긴장감으로 인해 그 주위를 지나는 신경이나 혈관, 림프 등이 눌려서 병적인증상을 발현시키는 것이다. 단순히 통증일수도 있고, 저림증상도 포함된다.)된 부분을 풀어주면서 치료를 하였습니다.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서 치료를 했고, 대부분의 환자는 1~3달 안에 70~80% 개선된 얼굴 움직임을 띄었습니다. 대학병원 특성상 짧은시간안에 많은 환자를 봐야했기 때문에 치료에 대한 비중을 늘이고 줄임으로써 3가지 치료방법 중 어떠한 치료가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했고, 실제적으로 안면신경이 포착된 부위를 풀어주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보았습니다.

안면마비 환자 치료하는 방법 3가지

안면신경이 포착되는 부위를 푸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안면신경이 포착되는 부위를 직접적으로 푸는 방법이 있고, 간접적으로 턱관절을 풀거나 두개골 리듬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횡경막을 푸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안면마비 원인

안면신경이 되는 부위는 통증사냥꾼 책을 보면은 안면신경이 오는 것인 이복근(digastric muscle)의 뒤쪽이다. 유양돌기(mastoid process) 뒤쪽게 붙는 이복근(digastric muscle)의 후지가 눌려서 생긴다고 되어있다. 하지만 이복근 (digastric muscle)의 후지에 접근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이복근(digastric muscle)의 후지가 눌리는 것은 두판상근(splenius capitis muscle)에 눌려서 온다고도 했다.

안면마비 첫 번째 치료 포인트

첫번째 치료해줘야 할 포착 포인트(Entrapment point)는 유양돌기 주변이다. 유양돌기(Mastoid process) 앞쪽에서는 이복근 후지가 있다. 이복근 후지에 있는 유양돌기를 치료하면 자동적으로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dius) 또한 치료가된다. 유양돌기 뒤쪽을 치료하면은 두판상근을 치는 것이다. 이렇게하면 안면신경이 포착(Entrapment)되는 부분을 모두 풀어주는 것이다.치료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손가락 마사지, 어깨부위(쇄골밑쪽)를 풀어주는 것이 있다. 이러한 것은 주로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것인데, 그 중에서도 정맥의 순환을 원활히 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안면마비 번째 치료 포인트

안면신경 구획에 따라서 그 부분을 풀어주는 방법이 있다. 턱 관절을 풀어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C0-C1 이완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완전하게 풀어주어야한다. 좀 더 능숙하게 교정을 할 수 있다면 경추1번(C1)을 해주는 것이 좋다. 충분히 이완시킨 후에 교정을 할 수 있다면 경추1번(C1)을 해주는 것이 좋다. 안면마비의 경우 감염요소도 무시 할 순 없어서, 경과가 항상 좋지는않다. 하지만 말초신경문제라서 대부분 시간이 지나고 치료를 잘 받으면 좋아진다. 상경추와측두하악관절주변의 수용기 자극도 좋지만, 두개골 리듬(cranial rhythm) 의 원할한 균형 회복을 위해 횡격막 주변의 자극도 권장된다. 왜냐하면 상부위장관구조에서의 치료와 경추전면부근막 이완을 위한 테크닉도 같이 해본다면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안면마비 번째 치료 포인트

호흡패턴(Breathing pattern)은 두개골(cranial)에서도 같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한 곳에 정체가 있으면 몸 전체순환에는 지장이 생기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부위장관구조의
치료와 경추전면부 근막이완을 위한 테크닉도 추천되어진다. 특히 경추전면부에 있는 이복근(digastric muscle)을 충분히 이완시켜주어야한다. 또한 턱 관절 파트근육들도 중요한 치료포인트다. 유양돌기를 풀면 이복근 두판상근 흉쇄유돌근이 풀리고, 큰가슴근(pectoralis major - 주로 쇄골 밑부위)과 손끝을 풀어주어 혈액순환이 잘되게끔 만들어준다. 안면신경의 분지인 얼굴눈썹옆, 코옆, 구렛나루도 포착이 많이 되는 부위기 때문에 충분히 풀어주면 좋다.

그 외 얼굴과 머리쪽 치료 꿀팁!!!

삼차신경통 팁!!

삼차신경 분지를 따라서 정맥이 울혈되는 곳을 찾아서 풀어준다.

뇌출혈 치료 팁!

머릿속에 혈액순환이 잘되게끔 만들어 준다. 머릿속의 혈관의 스무스머슬을 지배해주는건 자율신경이다. 머리속으로 들어가는 혈관은 척수동맥 , 내경동맥 이런것들이 들어간다. 이런 것들은 척추자체의 OA변화때문에 눌릴 수 있다. 이런 퇴행성 변화는 어떻게 할 수가 없으므로 척추가 수직으로 받는 부하(axial loading)을 줄여준다. 목에 척추 부하를 줄여줄때는 견갑거근을 풀어준다. 견갑거근을 치료할 때는 중사각근을 치료해준다.
C6부터 타고 올라가고 C7부터는 앞쪽으로 빠지는데 이때 눌릴 수 있는게 전사각근이다. 전사각근 또한 함께 치료해주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