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차 물리치료사가 쉽게 알려주는 고관절 통증 원인 및 치료방법
이 글은 13년차 물리치료사가 고관절 통증이 되는 원인을 해부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자세히 설명한 글로 고관절 통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글입니다. 특히 근육과 신경을 해부학적으로 설명해서 쉽게 일반인들도 알 수 있게 작성한 글입니다.
고관절 통증 원인 및 치료방법
고관절 통증
고관절안에 뼈조각이 둥둥 떠다니면 걸을 때 관골구(acetabulum)하고 대퇴골두(femur head) 힘 받는 부위 사이에 딱 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왜냐하면 딱 꼈을 때, 껴서 통증이 나타나는게 아니라 캡슐자체가 스트레칭돼서 통증이 유발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OA change나 무혈성괴사 등으로 고관절 통증이 올 수도 있다. 고관절의 움직임을 지배하는 신경은 고관절의 감각도 지배한다.
고관절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에 대해서 알아보자.
앞쪽 고관절 굴곡근에서는
대요근(psoas major)과
장골근(iliacus)를 함께 부르는
허리근(psoas muscle)이 있다.
그리고 대퇴직근(rectus femoris)도 있다.
뒤쪽 고관절 신전근에서는
대둔근(gluteus maximus)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반건양근(semitendinosus)
반막양근(semimembranosus)
이 3가지 근육을 통틀어 슬괵근(hamstring)이라고 하는 근육도 고관절 신전 역할을 한다.
큰모음근(adductor magnus)의 몸쪽으로부터 먼 곳(distal position)또한 고관절 신전 역할을 한다.
옆쪽 고관절 벌림근에서는
중둔근(gluteus medius)가 있다.
고관절 안쪽 돌림 근육은 대퇴근막장근(TFL : Tensor fasciae latae)가 있다.
고관절 바깥 돌림근육은 이상근(piriformis)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고관절 움직임을 신경들을 지배하는 신경은 두가지가 있다.
대퇴신경(Femoral nerve)과
궁둥신경(sciatic nerve)이 있다.
이러한 신경들이 고관절 움직임과
고관절 통증을 유발하는데,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하나 더 추가하자면 폐쇄신경(obturator nerve)도 있다.
대퇴신경(Femoral nerve) 중에서도 모음근육(adductor muscle)은 폐쇄신경(obturator nerve)이 지배한다. 허리근(Psoas muscle)을 풀면은 페쇄신경(obturator nerve)이 풀리고, 고관절 굽힘근(hip flexor)도 풀린다. 대퇴신경(Femoral nerve)과 페쇄신경(obturator nerve)은 허리근(Psoas muscle)을 치료해주면 된다. 궁둥신경(sciatic nerve) 같은 경우는 이상근(piriformis)을 치료해주면 된다.
이상근(piriformis)을 치료하면
상둔근신경(superior gluteal nerve)과
하둔근신경(inferior gluteal nerve)이 풀어진다.
상둔근신경(Superior gluteal nerve)은
중둔근, 소둔근, 근막장근의 움직임을 지배한다.
하둔근신경(inferior gluteal nerve)는
대둔근의 움직임을 지배한다.
고관절 통증이 있을 때에는 이상근과 대요근을 풀어준다. 그렇게하면 통증은 많이 줄 수 있다. (단, 위에서 말한 뼈조각이 고관절내에 돌아다닐 경우는 제외한다.)
두 가지를 치료하면 고관절(hip joint)의 발란스가 맞혀진다. 약한 곳은 마사지를 해주든가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가 많은 곳을 자극해주면 강해진다.
대부분의 고관절통과 둔부통은 이렇게하면 좋아진다.
하지만 예외인 경우도 있다!!!!
1. 미골통
앉으면 아프다. 어디가? 엉치뼈(sacrum) 이상근 (piriformis) 이는 곳. 엉치뼈를 눌러보면 압통점이 심한 곳이 있다. 이것은 대둔근의 기시부통증이다. 이상근을 치료하면 대둔근이 풀리는데, 기시부통증은 낫지않는다.
대둔근의 허혈성통증 + 대둔근의 기시부의 병적 등장성 수축이 같이 온 것이다.
앉았을 때 엉덩이 엉치뼈있는 곳에서 통증이 오면 미골통인데, 대둔근이 원인이다. 그래서 이상근을 치료해주면 대둔근의 허혈성통증이 낫는다. 그런데도 통증이 있을 경우는 대둔근의 기시부에 병적 등장성 수축이 남아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둔근을 직접 치료해줘야한다.
허리통증에서 디스크와 협착증이 공존하듯이 근육에서도 병적등장성 수축과 병적등척성 수축은 항상 공존한다.
미골통일 때는 이상근과 대둔근의 압통점 있는 곳을 모두 치료해주어야한다.
2. 의자에 앉으면 궁둥뼈 결절(ischial tuberosity)이 아픈 경우
대퇴이두근이나 반막양근(semimembranosis)이 붙는 부위로 통증이 많이 발생한다. 이럴때는 이 두 근육을 직접 풀어줘야한다.
병적등장성 수축이 있을 때 그 근육의 정지부 쪽에는 그 신경을 풀면된다. 하지만 기시부쪽에는 그 근육을 풀어주어야한다.
3. 앞쪽 고관절통(anterior hip joint pain)
앞쪽 고관절통의 99%는 허리근(Psoas muscle)의 윤활낭염(bursitis : 관절을 싸고있는 윤활낭에 염증이 생기는 것) 이다. 대부분 허리근(Psoas muscle)만 치료하면 좋아지는데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대퇴직근(rectus femoris)의 기지부(origin site)기 때문에 대퇴직근(rectus femoris)을 직접 치료해줘야한다. 기지부(origin site)의 병적 등장성수축이기 때문에 직접 풀어주어야한다.
둔부에 가쪽돌림(External rotation), 안쪽돌림(Internal rotation)이 되어 있건 간에 이 근육들을 지배하는 신경은 딱 2가지다. 허리근(Psoas muscle)을 풀면은 대퇴골구획(femoral compart)이 다 풀린다. 앞쪽이 풀린다. 그것 뿐만아니라 고관절 가쪽돌림(hip external rotation), 고관절 굽힘근(hip flexor), 고관절 모음근(hip adductor)도 풀린다. 이상근(piriformis)를 풀면 고관절 안쪽돌림(hip int rotator : TFl 풀림)과 고관절 폄근(hip extensor), 고관절 벌림근(hip abductor)가 풀린다.
패트릭 테스트(patrick test) 양성인 경우에 위에 두 가지 근육들을 풀어준 후, 12번 허리뼈에서 3번 허리뼈 다열근(T12~L3 Multifidus)까지 함께 풀어주면 더 좋다.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가 많은 곳을 자극해주자!!
통증이 있을 때 근육을 치료해서 가장 오래 유지 할 수 있게 해주는 방법은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가 많은 곳을 자극해준다.
근육을 길게(lengthening)해줘서 저항을 준 다음에 자극을 주면 더욱더 많은 자극이 간다.
혈액순환 좋아진다.
조인트가아닌 한 근육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은 그 근육자체가 불안정(unstable)한 상태이다. 마치 조인트에 불안정성(instability)이 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
건염(tendinitis)이 있건 근육통이 있건 제일 통증을 많이 받는 부위는 정지부(Insertion) 부위이다. 자극을 많이 받는 다는 것은 그 부위가 제일 약해졌다는 것을 뜻한다. 그 근육에 염증이 있다는 것은 그 부위가 약해지고 파열돼 있다는 의미다.
이 부위를 마사지하면은 혈액순환이 좋아지고,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빨리 정착되어서 힘줄이랑 근막자체를 강화시킨다. 그 부위를 자극준다는 것은 기계적수용기(mechanoreceptor)가 많은 부위에 근육자체가 좋아지게된다.
대퇴직근을 예로 들어서 설명해보겠다.
첫번째는 건골접합부 (빨간색 네모)
두번째는 근건접합부 (주황색 네모)
세번째는 근육의 압통이 심한부위 (만졌을 때 통증이 심한부위) - 번개모양으로 표시된 곳이 압통점이라고 했을 때 (초록색 네모)
이렇게하면 개별적인 근육의 불안정(unstable)한게 없어진다. 좋아지면 통증이 없어진다. 그 부위에 관계된 관절이 안정(stable)되어진다.
계속 유지시켜주려면 혈액순환이 잘되어야한다. 혈액순환이 잘된다는 것은 정맥 순환(venus return)이 잘 되어야한다.
상지쪽에서는 큰 가슴근(pectoralis major 부위)
하지쪽에서는 하지쪽에서는 허리근(psoas muscle)을 풀어준다.
또 복재정맥(saphenous vein)이 지나가는 부위를 풀어준다. 복제정맥은 큰복제정맥(great saphenous vein),
작은복제정맥(small saphenous vein)으로 나뉜다.
즉 무릎 부위 거위발(pes anserinus)있는 부위를 풀어준다. (빨간색 네모친 부분)
무릎 부위 거위발은 봉공근(sartorius)
박근(gracilis)
반막양근(semimebranous)이 합쳐진 무릎 안쪽 아래부위를 말한다.
혈액순환이 잘되게 하기 위해서는 근육 자체를 탄력성있게 만들어주고, 탄력성있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맥순환(venus return)이 잘 되야한다. 정맥(vein) 자체가 하수구역할을 함으로 하수구가 잘 빠져나가야한다.
댓글